Updated : 2025-04-22 (화)

미국채 스트롱바이 - KB證

  • 입력 2025-04-14 08:27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KB증권은 14일 "미국채를 스트롱 바이해야 한다"고 밝혔다.

임재균 연구원은 "미 정부와 연준 모두 최근 금리 급등세를 신경쓰고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임 연구원은 "지난주 금요일 미 10년 금리가 장중 4.5%를 상회했으며 30년 금리도 장중 4.95%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미국채 금리 상승의 이유에 대해서는 ① 관세에 대한 보복으로 중국의 미 국채 매도, ② 주가 하락에 따른 마진콜에 대응한 매도 ③ 스왑 스프레드 포지션의 언와인딩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②와 ③이 유력하다고 추론했다.

그는 "미 국채에 대한 신뢰도 하락은 여전하며 미 국채의 투매가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추가 상승할 가능성은 존재하지만, 미 정부와 연준 모두 최근 금리 상승에 대해 주의를 갖고 모니터링 하고 있는 만큼 금리 상승은 미 국채 장기물의 매수 기회"라고 판단했다.

임 연구원은 "투매의 이유에 대해 거론되는 것들은 대부분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따른 것이나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공포는 정점을 지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트럼프는 상호관세가 발효되고 13시간 이후 중국을 제외한 모든 나라에 대해서는 10%의 관세율을 적용한다고 발표하면서 원래 계획보다 관세율을 낮췄다"고 지적했다.

중국과 미국은 보복의 보복을 거치면서 중국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해 125%, 미국은 중국산 제품에 대해 145%까지 관세율이 상승했지만, 중국은 4월 11일 더 이상 미국의 보복에 대해 무시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도 그간 중국과의 협상을 기다렸던 가운데, 중국이 한발 뒤로 물러 나면서 협상을 할 가능성은 높아졌다"면서 "또한 관세 정책에서 강경파인 러트닉 상무장관과 나바로 백악관 수석 무역·제조업 관세 대신 온건한 베센트 재무장관이 전면에 나서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 점도 미국의 관세 정책이 향후 온건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트럼프 대통령도 더 이상 관세 정책을 강하게 밀어붙일 명분이 사라졌다고 진단했다.

임 연구원은 "트럼프가 관세를 원하는 이유 중 하나는 감세를 위한 것"이라며 "감세를 실행할 경우 재정적자 확대가 불가피한데, 관세 수입이 증가하면 재정적자 확대 우려로 감세를 반대하는 공화당 내 강경파들을 설득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그는 "다만 감세안을 포함한 내년 예산 결의안은 상원에 이어 지난주 하원까지 통과했다. 예산 결의안이 예상보다 빠르게 통과되면서 5월 26일 메모리얼 데이까지 감세안이 최종 처리될 가능성은 높아졌다"면서 "감세안 처리에 속도가 붙으면서 트럼프 대통령도 굳이 경기 둔화우려를 심화시키면서 강경한 관세 정책을 펼칠 이유가 사라졌다"고 주장했다.

금리에 대한 부담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은 주식시장의 하락에 크게 걱정하지 않는다고 언급했지만, 미 국채 금리에 대해 '채권 시장은 아름답지만, 어젯밤 (수요일) 사람들이 약간 불안해지는 것을 봤다'고 언급하면서 금리 상승에 대해 관심을 갖는 모습"이라며 "미 10년 금리는 4.5%로 2023년 11월보다는 낮지만, 당시 기준금리는 5.5%였던 반면 현재는 4.5%"라고 지적했다.

임 연구원은 "경기가 부담을 갖는 실질 금리는 2023년 11월 수준까지 상승했다. 만약 미 국채 투매로 금리가 상승할 경우 경기 및 신용 시장에 여러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를 우려해 트럼프는 관세 정책을 더 완화시킬 수 있으며, 협상용 카드로 미 국채 매수를 요구할 수도 있다"고 관측했다.

그는 "또한 4월 30일에 발표되는 5~7월 만기별 국채 발행 계획에서 전체 이표채의 발행 규모는 유지하더라도 10년~30년물의 비중을 축소할 수 있다. 2023년 하반기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 그리고 미 국채 발행 증가로 금리가 상승하자 미 재무부는 2023년 11월 1일에 발표한 QRA에서 단기물의 발행 비중을 확대하면서 금리 상승을 억제한 바 있다"고 상기했다.

재무장관은 옐런에서 베센트로 바뀌었지만, 베센트가 금융시장을 이해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일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임 연구원은 "연준의 개입 가능성도 존재한다. 4월 7일 빌 더들리 전 뉴욕연은 총재는 관세 우려에도 연준은 경기를 구하러 등판하지 않을 것이며, 시장이 작동하지 않을 때 개입할 것이라고 언급했다"면서 "결국 연준이 개입하기 위해서는 유동성 등 시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인데, 최근 미 국채 시장의 투매로 연준도 우려가 높아졌을 것"이라고 했다.

수잔 콜린스 보스턴 연은 총재는 (투표권 O) "시장은 계속해서 원활하게 기능하고 있고 전반적으로 유동성 우려는 없다"고 언급하면서 "시장 기능이나 유동성에 대한 우려가 발생할 경우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고 있다"고 발언했다.

이에 대해 임 연구원은 "연준 관계자 중 처음으로 금리 상승에 대해 발언했다. 향후 금리가 상승할 경우 연준은 QT의 조기 종료 등 유동성 공급을 통해 채권 금리를 안정화시킬 수 있다"고 내다봤다.

미국채 스트롱바이 - KB證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