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5-04-04 (금)

[자료] 민주당·조국당·사민당 "MBK, 속히 변제안 마련해야..김병주, 사재출연 방안 10일까지 제시해야"

  • 입력 2025-04-02 10:09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MBK-홈플러스 사태 해결 촉구, 야3당 공동기자회견

□ 일시 : 202542() 오전 940

□ 장소 : 국회 소통관

□ 참석자 : 더불어민주당 강준현 간사,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
사회민주당 한창민 의원 및 더불어민주당 정무위원회 소속 위원

□ 주요요구 : MBK파트너스 김병주회장 사재출연 촉구, 국회 청문회 개최 촉구

□ 취지 :

1) 지난 3월 18일 국회정무위원회에서 개최한 홈플러스 관련 긴급현안상임위에서 홈플러스의 대주주인 MBK김병주회장의 사재출연 약속이 있었고, 이후 홈플러스는 3월 21일 유동화전단채를 포함한 상거래채권에 대한 전액변제 발표가 있었음에도 이후 구체적인 후속계획을 제시하고 있지 않은 상황임.

2) MBK와 홈플러스의 후속조치가 미비할 경우 국회차원의 청문회 개최를 여야가 합의한 바 있으므로 빠른 시일 내 국회 청문회를 촉구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야3당 국회의원들의 합동 기자회견임

□ 주최 : 국회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사회민주당 위원 일동

*첨부 : 기자회견문 전문

MBK-홈플러스 사태 해결 촉구,

국회정무위원회 소속 야3당 공동 기자회견문

홈플러스와 대주주 김병주 회장은

하루 속히 구체적 변제안을 마련하라

○ 긴급현안질의 당시 국회에 증인으로 출석한 홈플러스 김광일 대표는 “사재출연을 포함한 책임 있는 방식으로 유동화 채권에 대해 100% 변제하겠다”고 약속한 바 있다. 또한 지난달 21일 홈플러스는 입장문을 통해 유동화 채권 전액 변제 약속을 재확인했다. 이는 국회와 국민 앞에서 공개적으로 한 발언이자, 기업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최후의 약속이었다.

○ 하지만 그 약속은 시간이 지날수록 ‘조건부 변제’라는 형식으로 퇴색해가고 있다. 김 대표와 홈플러스가 여전히 책임 회피와 시간 끌기에 몰두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

○ 김광일 대표는 지난달 20일 회생법원에서 홈플러스와 3개 카드사(롯데·신한·현대) 간 비공개 심문 과정에서 “최장 10년 분할 가능성”을 언급한 것으로 알려졌다. 사실이라면, 이는 당초의 ‘100% 변제’ 약속을 실질적으로 뒤로 미루겠다는 뜻이다. 이는 결국 무책임한 시간벌기일 뿐이며, 국민을 기만하는 처사다. 공공성과 신뢰를 기반으로 해야 할 대형 유통기업의 사회적 약속을 스스로 저버린 것이다.

○ 더욱 심각한 문제는 ‘사재출연’ 약속이 여전히 구체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김 대표는 사재출연을 언급했지만, 출연의 규모, 시기, 방식에 대해선 지금까지 아무런 설명도 내놓지 않고 있다. 심지어 회생법원 비공개 심문 과정에서도 사재출연 계획에 대해서는 일체 답변을 거부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구체적인 재원 마련 방안이 없는 ‘전액변제’ 약속은 그 자체로 대국민 사기극이 될 수밖에 없다. 결국 대국민 약속을 이렇게 모호하게 미룬 채 방치하는 상황에서, 국회가 청문회를 통해 진실을 밝히고 책임을 따져 묻는 것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니라 필수다.

○ 이번 사태는 단순한 회생절차나 계약 해석의 문제가 아니다. 유동화 구조의 불투명성과 기업의 책임 회피가 결합된 심각한 도덕적 해이이며, 그 피해는 고스란히 일반 투자자들과 금융질서 전반으로 전가되고 있다. 그리고 그 책임의 정점에는 홈플러스를 인수해 막대한 배당 수익을 챙긴 MBK파트너스와 김병주 회장이 있다. 실질적 대주주로서 김병주 회장은 국회 청문회에 출석해 지금의 상황에 대해 분명한 입장을 밝히고, 책임 있는 대책을 제시해야 한다.

○ 국회는 더 이상 홈플러스의 책임 회피를 좌시할 수 없다. 진정성 없는 조건부 약속으로 국민을 기만하는 이 행태가 계속된다면, 이는 국회의 직무유기이며 국민의 권리를 저버리는 일이 될 것이다. 홈플러스와 대주주 김병주 회장은 사재출연 계획을 포함한 구체적인 재원마련 방안을 4월 10일까지 제시하라. 그렇지 않으면 온 국민을 기만한 죄를 청문회를 통해 반드시 물을 것이다. 국회는 이번 사태를 끝까지 주시하며, 국민이 다시는 기만당하지 않도록 모든 책임을 묻는 데 주저하지 않을 것이다.

○ 마지막으로 피해자의 마음을 담아, 여야가 이미 합의한 홈플러스에 대한 국회 청문회를 조속한 시일내에 개최해 줄 것을 여당에 촉구한다.

2025년 4월 2일

국회 정무위원회

더불어민주당ㆍ조국혁신당ㆍ사회민주당 위원 일동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