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11-25 (월)

11월 금통위, 성장과 금융안정 줄다리기 속 만장일치 동결 예상...3개월 내 인하 열어두기 늘어날 듯 - KB證

  • 입력 2024-11-25 09:05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KB증권은 25일 "11월 금통위는 성장과 금융안정의 줄다리기 속에 만장일치로 동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임재균 연구원은 "이번 회의의 포워드 가이던스에선 3개월 내 인하 가능성을 열어놓는 금통위원이 증가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임 연구원은 "10월 금통위에서 한은은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은 커졌다고 언급했지만, 내수에는 큰 변화가 없다고 언급하면서 경기 진작을 위해 금리를 빠르게 내릴 것이라는 인식을 주지 않기 위해 노력했다"면서 "하지만 3분기 경제 성장률은 수출과 건설의 부진으로 전분기대비 0.1%로 한은의 전망치인 0.5%를 크게 하회햇고 미 대선에서 트럼프가 당선되면서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따른 내년 경기에 대한 우려도 확대된 상황"이라고 밝혔다.

경제전망에선 내년 한국의 성장률을 기존 2.1%에서 하향 조정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트럼프의 관세부과 등 보호무역정책의 강도와 시점을 아직 알 수는 없는 점을 고려하면 관세 부과에 따른 부정적 영향을 반영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성장률은 2.0% 내외로 하향 조정할 것"이라고 관측했다.

물가에 대해서는 우려가 낮아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10월 물가는 1.3%까지 둔화되면서 한은의 목표치(2.0%)를 하회했다.

임 연구원은 "10월 물가는 기저효과로 낮아졌으며 11월부터 반등하는 모습을 보이겠지만, 내년 상반기까지는 2%내외에서 등락하는 모습을 보일 수 있는 점은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가계부채는 우려스러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그는 "10월 한은이 금리를 인하할 수 있었던 것은 가계부채의 증가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라며 "은행에서의 가계대출 증가세는 둔화되고 있지만 제 2금융권을 중심으로 가계대출 증가세가 재차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10월 가계대출의 증가 규모는 6.6조원으로 지난 9월(5.3조원)보다 확대됐다.

그는 "한은이 10월 금리를 인하하면서 가계대출에 대해서는 정책의 시차를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언급한 가운데 10월 가계대출이 재차 반등하고 있는 점은 우려된다"고 밝혔다.

환율에 대한 우려도 커졌다고 밝혔다.

그는 "10월 인하를 단행할 당시 원/달러는 1,300원 중반이었지만, 최근 원화는 1,400원 내외에서 등락 중"이라며 "경제 부총리가 1,300원대가 뉴노멀이라고 언급했지만, 한은 총재는 추가로 고려해야할 변수라고 언급한 점을 고려하면 높아진 원화 수준은 한은의 부담 요인"이라고 평가했다.

향후에도 미국의 강한 경기 그리고 미 대선 등의 영향으로 원화가 강세로 돌아서기는 어려운 가운데 높아진 환율은 부담이라고 했다.

임 연구원은 "더욱이 지난 7월부터 환율 시장의 거래시간이 기존 15시 30분에서 익일 02시까지로 연장되면서 개입의 영향력이 낮아질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지난 14일 미 재무부는 한국을 환율 관찰 대상국으로 포함했다"면서 "환율 시장의 직접 개입이 어려운 가운데 높아진 환율에 대해 한은의 역할이 커진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물론 달러 강세로 대부분의 통화가 절하됐지만, 원화는 연초 이후 혹은 트럼프의 당선 가능성이 높아진 10월 이후로 봐도 다른 나라에 비해 절하가 크게 된 통화인 점은 부담이라고 했다.

그는 "한은은 지난 10월 금통위의 포워드 가이던스를 통해 1월까지 동결을 시사했지만, 경기에 대한 우려로 시장은 1월 인하 기대를 높이고 있다. 다만 트럼프 취임은 1월 20일이며, 금통위는 1월 16일"이라며 "트럼프의 정책 강도와 시점이 불확실한 상황에서 취임 전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할 경우 향후 정책 대응 여력은 낮아질 수 있다"고 했다.

그는 "더욱이 빠르게 인하를 단행하기 위해서는 내년 경제뿐 아니라 2026년 경제에 대한 우려도 높아져야 한다고 판단된다"면서 "만약 한은이 2025년 성장을 하향 조정하면서 2026년 성장을 2% 내외로 전망한다면 한은은 2026년 성장률에 더 무게를 둘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밝혔다.

임 연구원은 "물론 목표치를 하회하고 있는 물가와 정부의 거시건전성 정책으로 억제되고 있는 가계대출 등을 감안하면, 1월 선제적 인하를 배제할 수 없다. 인하를 할 수 있는 여력이 크지 않은 상황에서 빠르게 인하를 단행하는 것이 경기에 긍정적일 수 있기 때문"이라며 "다만 국고 3년 금리가 2.8%로 금리인하 기대감을 상당 부분 선반영한 가운데 금리가 현 수준보다 낮아지기 위해서는 내년말 기준금리가 중립금리(2.25~2.75%)보다 낮아질 것이라는 기대가 높아져야 한다"고 진단했다.

그는 "오히려 빠르게 인하할수록 추가 인하 속도 및 폭에 대한 기대감이 낮아질 것"이라며 "더욱이 추경에 대해 보수적인 스탠스를 보이던 대통령이 추경에 대해 언급한 점은 금리의 상방 요인"이라고 풀이했다.

이어 "기재부는 선을 그었지만, 대통령의 발언으로 내년도 추경 가능성은 높아질 것"이라며 "이 경우 빠른 금리인하와 추경 등은 경기의 하방 위험을 감소시킬 것이며 내년 역대 최대 규모의 국채 발행 계획에 더해 추경이 나올 수 있는 점은 수급의 부담 요인"이라고 덧붙였다.

11월 금통위, 성장과 금융안정 줄다리기 속 만장일치 동결 예상...3개월 내 인하 열어두기 늘어날 듯 - KB證이미지 확대보기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