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통계청
[장태민의 채권포커스] 통화정책 위협 안 되는 물가상승폭 확대와 주거비 제대로 반영 못 하는 한국 물가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장태민 기자] 소비자물가가 상승률을 확대했다.
2일 통계청에 따르면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동월대비 2.6% 상승했다.
지속적으로 낮아지던 전년비 상승률이 반등한 것이다.
최근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월과 3월 3.1%를 기록한 뒤 4월 2.9%, 5월 2.7%, 6월 2.4%로 둔화됐으나 7월엔 오름폭을 확대한 것이다.
하지만 미래의 물가상승률은 이보다 낮을 가능성이 커 이 물가 수치를 통화정책 완화에 위협 요인이 되는 데는 한계가 있다.
■
근원물가의 안정...일시 요인에 의한 상승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확대됐지만 비근원물가 영향이 컸다.
7월 당시 석유류 가격은 국제유가 상승이나 유류세 인하폭 축소로 오름폭을 확대했다. 또 농산물 가격은 집중 호우 영향으로 일부 채소가격이 올랐으나 여타 품목은 둔화 흐름을 이어갔다.
최근 중동을 둘러싼 경계감이 고조돼 유가 재급등 우려가 나오긴 하지만, 최근까지 국제유가도 안정적이다.
유가(WTI)는 80달러를 웃돌다가 7월 하순부터 70불대로 낮아졌으며, 최근엔 70불대 중반을 중심으로 움직이고 있다.
일시 요인을 제외하면 근원물가는 안정세를 이어가고 있다.
근원물가 상승률은 3월 2.4%, 4월 2.3%로 꾸준히 둔화된 뒤 5월부터 7월까지는 2.2% 상승에 그쳤다.
근원물가가 중기물가목표(2%)에 거의 근접한 가운데 이 물가의 안정세 흐름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물가의 기본 축이 안정적이기 때문에 향후 변동성 요인에도 불구하고 하향 안정을 예상하는 게 합리적이다.
■ 당국 물가 추세적 둔화 흐름 예상
사실 7월엔 유류세 인하폭 축소나 계절요인에 따른 일부 농산물 가격 급등 등으로 물가가 오름폭을 확대할 것이란 예상이 강했다.
당국도 일시 물가 오름세를 예상한 바 있으며, 별 일만 없다면 8월부터 다시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봤다.
김웅 한은 경제담당 부총재보는 CPI가 발표된 뒤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근원물가가 하향 안정된 가운데 8월부터 지난해 유가·농산물가격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하면서 다시 둔화 흐름을 나타낼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중동 정세 악화, 기상여건, 환율 추이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있는 만큼 8월 경제전망시 향후 물가 여건을 면밀히 점검하여 분기 전망경로를 제시하겠다고 했다.
7월 물가가 다시 고개를 들었지만 유가 영향이 컸다고 풀이했다.
김 부총재보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예상대로 소폭 높아졌는데 이는 주요국과 마찬가지로 유가 상승의 영향이 작용한 데다 국내 집중호우와 같은 일시적 요인의 영향도 있었기 때문"이라며 "하지만 근원물가는 2%대 초반 수준에서 안정된 흐름을 지속하고 있다. 유로지역도 에너지가격 상승 영향으로 7월중 헤드라인 물가 오름폭이 확대된 바 있다"고 했다.
정부 역시 향후 물가상승률 추가 둔화라는 비슷한 경로를 그리고 있다.
김범석 기재부 차관은 물가관계차관회의에서 "7월 소비자물가가 집중호우, 국제유가 영향 등으로 2.6% 상승했으나 4개월 연속 2%대를 유지하고 근원물가도 2.2% 상승하면서 물가 안정 흐름이 지속되고 있다"면서 "기상악화 등 일시적 요인이 해소되고 추가 충격이 없다면 8월부터는 2% 초중반대 물가 둔화 흐름이 재개될 것"이라고 관측했다.
■ 통화정책, 부동산의 CPI 견제
물가 상승률이 낮게 나오고 있지만 일각에선 한국 물가가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면서 개편을 주장한다.
미국 등 주요국에 비해 한국 물가가 부동산을 반영하는 데 인색하기 때문에 이를 고쳐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것이다.
사실 아주 오래 전부터 일부 사람들은 한국 물가의 '비현실성'을 질타해 왔다.
지난달 하순엔 통계청이 국회에 업무 보고를 하자 물가부터 제대로 고치라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당시 안도걸 민주당 의원은 "자가주거비와 임차료의 물가지수 비중은 미국이 31%, 영국이 22%인데 한국은 10%에 불과하다. 의식주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주거비이며, 물가지수에 주거비가 제대로 반영되도록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기도 했다.
안 의원은 문재인 정부 시절 기재차관을 지낸 인물로 올해 4월 총선을 통해 정계에 입문했다. 기재차관으로서의 경험 때문에 한국 물가지표의 문제점을 알고 있는 것이다.
그는 "자가주거비를 충분히 반영하면 주거 관련 비용은 28%에 달한다"면서 지수개편을 서두를 것을 당부했다.
그러면서 "이런 상황에서 한은이 섣불리 금리를 인하하면 (집값을 자극해) 부작용이 클 것"이라고 우려했다.
통계청은 5년 단위로 물가 체계를 개편하고 있다. 통계청은 내년에 부동산의 물가 반영 문제를 좀더 검토해 본 뒤 지수 개편 관련 답변을 내놓을 예정이다.
한국은행 입장에선 '금융안정' 차원에서 가계부채(부동산)를 다루고 있다.
최근엔 집값 상승폭 확대에 긴장하면서 금융안정을 더욱 강조했다.
하지만 영국도 금리 인하에 동참하고 미국의 9월 인하도 기정사실처럼 되면서 국내 금리에 대한 하방 압력은 지속되는 중이다.
한은은 부동산에 대한 견제구도 던지고 "주요국의 통화정책은 각국의 물가·경기 상황 등에 따라 차별화가 뚜렷해질 것"이란 위협도 내놓고 있다. 또 지금은 부동산과 가계부채 등 금융안정 리스크가 상존하는 상황이라고 보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의 금리 인하 압박 속에 한국 통화당국은 부동산 문제 때문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의 한 직원은 "(7월 물가가 상승폭을 확대했지만 큰 흐름에선) 소비자물가는 계속 둔화되는 중인 반면 부동산 가격이 오르고 있어서 금리 인하의 최대 위협 요인이 된 듯하다"면서 "총재가 금리인하 기대감이 최근 수도권 집값에 영향을 미쳤다고 언급하는 등 금통위 내 부동산 경계감이 커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