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DB금융투자는 4일 "미국 신용등급 강등이 근본적으로 미국채 수요를 줄어들게 만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박성우 연구원은 "재무부의 장기국채 발행 확대와 같은 수급 부담이 단기적으로 존재한다"면서 이같이 예상했다.
박 연구원은 "일본은행의 YCC 조정에 따른 일본계 해외채권 투자자의 본국 이전 우려도 부담스럽다"면서 "재무부와 BOJ발 수급 우려가 나타나는 가운데 국가 신용등급 강등까지 더해져 단기적으로는 장기국채에 악재로 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그러나 "근본적으로는 인플레이션과 연준 통화정책이 핵심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며 "디스인플레이션 진행, 연준의 긴축 막바지 도달 등을 감안할 때 긴 호흡에서 장기금리는 결국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작년말 기준 국가신용등급 상위 12개국에서 발행한 국채잔액은 33조 달러이고 그 중 미국채가 27조달러로 82% 비중을 차지한다고 밝혔다.
박 연구원은 "달러 시스템으로 돌아가는 현재의 글로벌 경제 체제하에서 현실적으로 미국채를 다른 고신용등급 구가 정부채권으로 대체하긴 어렵다"면서 "독일, 캐나다, 호주 국채가 미국 다음으로 발행규모가 크지만 턱없이 부족하다"고 짚었다.
그는 "이런 미 국채의 대체 불가능성은 S&P로부터 AAA등급을 상실한 2011년 이후 오히려 더 커진 것"이라며 "2011년 당시 3대 글로벌 신평사 중 한 곳에서라도 최고 등급을 부여받는 국채 중 미국 비중은 59%였다"고 지적했다.
2011년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최고 신용등급을 상실했기에 글로벌 자본시장에서 미국채의 역할을 더욱 확대됐다고 평가했다.
AAA에서 AA+로의 국가신용등급 변화가 현재 금융규제 상 유의미한 차이를 발생시키지도 않는다고 했다.
AA+등급 국채도 AAA와 마찬가지로 은행의 자기자본비율 산출시 위험가중치가 없다. 바젤3 표준 프레임워크에선 AA-등급까지 위험가중치를 0%로 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즉 AA- 등급까지 상승해 A등급 라인으로 강등되지 않는 한 이론적으로 미국채 보유가 은행의 자기자본비율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박 연구원은 다만 "레포와 같은 담보거래에서 신용등급 변화가 기관투자자들의 미국채 수요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했다.
그는 그러나 "바젤위원회에서 권장하는 적격 담보물에 대한 표준 헤어컷 지침상 AAA와 AA+ 등급간 유의미한 차이는 없다"면서 "물론 특정 기관은 담보 요구가 표준 지침보다 엄격할 수 있고 복잡 다양하게 얽혀 있는 금융거래 계약상 문제가 발생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하기 어렵다"고 평가했다.
이어 "다만 고품질 담보채권으로서의 미국채 수요가 크게 훼손되기도 어렵다"고 덧붙였다.
미국 등급 강등 불구 美국채 대체 불가능성 2011년보다 높아져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등급 강등 불구 美국채 대체 불가능성 2011년보다 높아져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등급 강등 불구 美국채 대체 불가능성 2011년보다 높아져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등급 강등 불구 美국채 대체 불가능성 2011년보다 높아져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
미국 등급 강등 불구 美국채 대체 불가능성 2011년보다 높아져 - DB금투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