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 강화로 보험 가입 가구 중 절반은 가입거절 위험
* 현재 보증보험 가입 가구 15만 3천여 가구 중 7만 1천여 가구 강화된 가입기준 미달
* 보증보험 가입 못 하는 주택 중 3억 이하 저가 주택이 91% 차지
* 청년·신혼부부 등 주거취약계층 많은 다세대 주택 60% 보증보험 거절 예상
* 일률적인 기준 강화가 아닌 주택유형·금액별 차등둬야
전체 전세보증보험 가입 가구 중 절반가량이 지난 5월 강화된 가입기준에 미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7일 유경준 국민의힘 의원이 주택도시보증공사(HUG)로부터 제출받은 ‘공시가격 비율별 전세보증 물건 수’ 자료에 따르면 이같이 조사됐다.
가입거절 위험 가구 중 90% 이상이 3억 이하 저가 주택이었고, 현재 보증보험이 가입된 다세대 주택의 60% 가량이 보증보험 거절될 것으로 밝혀졌다.
통계청장 출신인 유 의원은 이 자료를 토대로 "다세대 주택은 청년·신혼부부 등 주거 취약계층이 많이 거주하는 것을 감안하면 최근 전세사기 사태와 함께 거주불안을 더욱 크게 초래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지난 2월 국토부는 「전세사기 예방 및 피해 지원방안」 을 통해 전세보증금 반환보증보험 가입기준을 전세가율 100%에서 90%로 조정하고, 주택가격 산정기준 역시 공시가격의 150%에서 140%로 낮추는 방안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지난 5월부터 보증보험 가입기준은 기존 ‘공시가격 150%(150%X100%)’에서 ‘공시가격의 126% (140%×90%)’ 까지만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상황이다.
문제는 가입기준으로 설정된 ‘공시가격의 126%’가 전세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공시가격 산정식은 매매가격에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곱해 산출된다. 공시가격 현실화율은 문재인 정부에서 부동산 세금을 더 거두기 위해 2020년 공동주택 69%, 단독주택 53%이던 것을 2023년 각각 72.7%, 60.4%로 올릴 계획이었다.
이후 윤석열 정부는 공시가격 현실화 계획을 전면 수정해 2023년 현실화율을 2020년 수준으로 낮춰 보유세 부담을 완화하는 등의 대책을 시행한 바 있다.
하지만 국토부는 이런 윤 정부의 공시가격 현실화 수정 계획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해 전세 주택이 가입기준으로 설정한 전세가율 90% 이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가입이 불가한 경우가 허다 한 것으로 나타난 것이다 .
유 의원이 실제로 23년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반영해 보증보험 가입 가능 전세가율을 구해본 결과 아파트와 같은 공동주택의 경우는 매매가격의 87%(69%(현실화율) X 126%), 다가구와 같은 단독주택의 경우 67.5% (53.6%(현실화율) X 126%)로 국토부가 목표로 한 전세가율 90% 이하인 가구들도 보증보험에 가입이 안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 의원은 "국토부의 일률적인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 강화로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가 불안한 상황"이람 "특히 저가주택과 주거취약계층이 많은 주택유형의 보증보험 가입거절 위험이 큰 만큼 주택유형·금액별로 가입기준을 차등화하는 방안을 조기에 검토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유경준 의원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 강화로 보험가입가구 절반은 가입거절 위험"
이미지 확대보기
유경준 의원 "전세보증보험 가입기준 강화로 보험가입가구 절반은 가입거절 위험"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