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DB금융투자는 13일 "한국이 과도하게 긴축할 때 고환율이 심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문홍철 연구원은 "통화약세에 과도한 통화정책 긴축 대응을 환율 상승의 악순환 고리가 될 수 있다"면서 이같이 진단했다.
문 연구원은 "금리와 환율의 관계, 통화약세가 해당국 물가를 높이는 요소라는 상식은 다른 나라 통화가치 설명에는 합당할지 모르나 원/달러에는 맞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우리가 경험한 현장의 지식은 선험적 경제학을 묵살하는 비상식적 현실이었다"며 "원/달러 환율은 상식과 반대로 한국 금리가 미국보다 높을 때 상승한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한국의 경우 경제 규모 대비 대외 무역의 비중과 자본시장의 개방도가 매우 크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문 연구원은 "물가도 전혀 다르다. 원화가 약세일 때 물가는 하락한다"며 "이는 환율 상승의 주 원인이 글로벌 수요둔화이기 때문일 것"이라고 했다.
수요 악화 시기에는 인플레가 아니라 디플레가 발생한다고 밝혔다.
그는 "큰 그림에서 보면 환율 상승에 따른 인플레 압력보다 글로벌 소비 감소에 따른 디플레 압력이 크다"며 "이는 한국의 통화정책에도 함의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한국이 과도하게 금리를 인상하면 한미 금리차를 줄이고 환율에 따른 잠재적 인플레에 대응하는 정석적 대응처럼 보일 것이라고 실제 그렇게 진행될 가능성이 적지 않다"면서 "그러나 현실은 정책 의도와 정반대"라고 밝혔다.
대외 수요침체 상황에서 국내 금리가 빠르게 상승하면 그나마 남아 있던 내수와 투자도 둔화시켜 성장이 훼손된다는 것이다. 이는 또 원화 약세를 부추기는 요소라고 밝혔다.
문 연구원은 "외국인 입장에선 글로벌 수요둔화에 가장 민감도가 큰 국가를 먼저 버리는 것이 합리적인데, 그 국가가 통화를 강하게 긴축한다면 우선적으로 노출을 줄일 것"이라고 했다.
원/달러 환율을 설명하는데 교과서 모델은 소용이 없고 그나마 우리가 사용하던 모델도 팬데믹 이후 인플레이션 시기에 유의성이 낮아졌다고 평가했다.
그는 "수출은 역사적 경험과 과도한 전세계 재정지출이 만들어낸 수요의 되돌림을 고려할 때 연말, 연초엔 전년비 -20%까지 줄어들 수 있다"며 "이때 적정 환율은 1,430원이나 이는 글로벌 신용위기가 없다는 기준이고 위기를 동반한 침체가 발생할 경우 그보다 위쪽도 열어둘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지난 8일 ECB가 금리를 75bp 인상할 때 EUR 움직임이 시사하는 바가 있다고 했다.
그는 "8일 당시 큰폭의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유로화는 달러 대비 약해졌다"며 "이는 환율이 단순히 금리차뿐 아니라 펀더멘털 전망에도 좌우된다는 기본을 알려준다"고 밝혔다.
그는 "고에너지 가격에 신음하는 유로존에 고금리라는 부담이 더해지면 성장은 더욱 타격 받고 유로존 투자 매력은 낮아진다"며 "그동안 유로/달러 환율이 미국과 유로존의 금리차를 비교적 교과서대로 반영해왔으나 금리차가 환율을 설명한다는 모델이 작용하려면 경기 개선과 인플레 상승이 순반돼 금리가 인상되는 정상적인 상황이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그래야 성장이 높으니 금리를 올리는 것으로 통화는 강해진다는 논리가 자연스러워진다. 지금 유로존은 그렇지 않다"며 "환율을 바라볼 때는 펀더멘털이라는 원칙이 중요하며, 양국간 금리차 이전에 실질성장에 대한 전망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