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신한투자증권은 19일 "기간조정을 겪은 코스피의 제반 사항은 한달전에 비해 더 개선됐다"고 진단했다.
노동길 연구원은 "KOSPI 기간 조정 원인은 기술적 과열 해소 필요, 미국 주식시장 조정에 따른 미국계 자금 이탈, 트럼프 행정부 관세 리스크 추가 점화 등이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노 연구원은 "코스피 과열 신호는 기간 조정으로 인해 해소됐다. 전인대에서는 소비 중심 중국 경제 정책 전환을 확인했다"면서 "관세 리스크는 4월 초 정점을 앞두고 있지만 무분별한 전쟁으로 격화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KOSPI 경로는 향후 세 가지 변수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첫째로 1분기 실적을 거론했다.
그는 "이익 추정치 하향은 오히려 최근 상승으로 반전됐다. 원/달러 환율 상승 효과 고려 시 서프라이즈 가능성 높고 추정치 하향 속도를 늦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둘째, 중국향 ICT 수출 추세 변화 가능성을 주시해야 한다고 밝혔다.
노 연구원은 "중국 소매판매는 상품 위주로 개선되고 있다. 스마트폰, 반도체 대중 수출 개선은 삼성전자 밸류에이션에도 영향을 줄 요소"라고 밝혔다.
셋째, 4월 초 관세 리스크 정점 통과 가능성도 감안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관세가 질서 있게 현실화된다면 업종 수익률 갭 메우기 가능성을 높인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업종은
자동차, 반도체, 헬스케어, 소비재"라고 밝혔다.
3개월 ROE 변화율을 놓고 보면 상대수익률과 선형적 상관관계를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노 연구원은 "수익률 갭 메우기를 시도할 수 있는 구간에서 덜 오른 대안에 주목할 만하다. ROE 개선에 비해 상대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업종은 운송, 통신, 헬스케어"라며 "화장품, 미디어, 건설도 실적에 비해 아직 부담스럽지 않다"고 평가했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