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12-27 (금)

[채권-개장] 국채선물 약세 출발...美금리 급등 영향

  • 입력 2024-12-24 09:14
  • 신동수 기자
댓글
0
자료: 국고채 금리와 국채선물 가격의 오전 9시 8분 현재 상황...출처: 코스콤 CHECK

자료: 국고채 금리와 국채선물 가격의 오전 9시 8분 현재 상황...출처: 코스콤 CHECK

이미지 확대보기
[뉴스콤 신동수 기자]
24일 국채선물시장에서 3년은 5틱 내린 106.70에서, 10년은 24틱 하락한 117.30에서 출발했다.

간밤 미국채 금리가 경기 지표의 부진에도 주가가 상승한 데다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과 트럼프 2기 재정 악화 우려로 장기물을 중심으로 급등한 영향을 받았다.

코스콤 CHECK(3931)에 따르면 미국채 10년 금리는 7.40bp 오른 4.5890%를, 통화정책을 반영하는 국채 2년 금리는 2.65bp 상승한 4.3335%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국채 10-2년 스프레드는 25.55bp로 확대됐다.

미국 콘퍼런스보드(CB)가 발표한 12월 소비자신뢰지수는 104.7로 전월보다 8.1포인트 급락했다. 시장에서는 113으로 올랐을 것으로 예상했다.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지난 11월 내구재 수주도 전월 대비 1.1% 줄었다. 예상치 0.4% 감소를 하회하는 결과이다. 다만 전월 기록이 0.3% 증가에서 0.8% 증가로 상향됐다.

장중 3년 국채선물은 -5틱 출발 후, 10년 국채선물은 -24틱 출발 후 등락해 -1틱내외, -18틱내외에서 매매됐다.

간밤 미국채 금리가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우려와 트럼프 2기 재정 악화 우려 등으로 장기물을 중심으로 급등해 커브 스티프닝이 이어진 영향을 받았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 위기가 해소되며 위험자산 선호가 강화된 점과 지난 미국의 10월 내구재 수주 기록이 크게 상향 수정된 점도 부담이 됐다.

미국금리선물시장에서 내년도 금리동결 확률은 1월 91.1%로 큰 변화가 없었지만 3월은 58.7%로 확대됐다. 4월 금리동결 확률도 49.1%로 전일(42.1%), 1주일전 32.5%)보다 확대 반영했다.

뉴욕 역외차액결제선물환(NDF)시장에서 달러/원 환율이 1451원대로 오르는 등 고환율 부담도 계속됐다.

국내 소비자심리가 급락하는 등 경기 악화 우려로 한은의 금리인하 기대가 이어졌지만 높은 환율 변동성으로 내년 1월 금리인하에 대한 불확실성도 높았다.

소비자들의 향후 1년간 기대인플레이션(2.9%)이 소비자물가상승률의 1%대 유지에도 환율 급등, 공공요금 인상 우려 등으로 상승한 점도 부담이 됐다.

정부가 추경 편성과 관련해 내년 예산의 신속한 조기집행이 우선이라는 입장을 보였지만 대규모 국고채 발행 재개에 따른 물량 부담은 계속됐다.

경기 비관론에 따른 대기 매수세에도 고환율과 국고채 물량 부담이 계속해서 시장을 압박했다.

장중에는 외국인이 국채선물시장에 매도에 나서면서 약세를 지지했다.

전일 외국인은 3년 국채선물에서 지난 11일 이후 9거래일 만에 순매수에 나섰지만 이날 다시 순매도로 돌아섰다.

전반적으로 미국 금리 급등, 환율 상승, 대규모 국고채 발행 부담 등 숏 재료 우위 속에 외국인의 국채선물 매도로 약세 흐름이 이어졌다.

9시 8분 현재 코스콤 CHECK(3107)에 따르면 3년 국채선물은 1틱 내린 106.74에서, 10년 국채선물은 18틱 하락한 117.36에서 거래됐다.

외국인은 3년 국채선물을 136계약, 10년 국채선물은 282계약 순매수했다.

국고채 금리는 일부 구간에서 호가 형성중인 가운데 2년, 3년, 5년물이 상승했다.

국고채 2년은 0.1bp 오른 2.736%에, 3년은 0.9bp 상승한 2.618%에, 5년은 0.9bp 상승한 2.766%에 매매됐다.

증권사의 한 딜러는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우려 등으로 크게 상승한 미국 금리 영향을 받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미국과는 차별화된 펀더멘털과 한은의 금리인하 기대에도 원화 약세, 1월 물량 부담 등의 경계감이 적지 않고 미국금리가 상승하는 상황에서 우리만의 강세도 한계가 있다"며 "레벨이 올라 대기 매수세를 일부 자극하는 모습이나 아직은 매수로 나서기에는 리스크가 더 커 보인다"고 덧붙였다.

신동수 기자 dsshin@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