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d : 2024-11-15 (금)

미국 실물경제와 금리간 관계 미약해져...임기응변식 통화정책 운영 상당기간 불가피 - 자본시장硏

  • 입력 2023-10-31 11:13
  • 장태민 기자
댓글
0
[뉴스콤 장태민 기자] 자본시장연구원은 31일 "미국의 적정한 긴축 정도에 대한 판단이 어려워 향후 성장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유발되고 있다"고 밝혔다.

강현주 연구원은 "미국 실물경제와 금리 간 관계가 미약해지면서 통화정책의 준거금리로 사용되는 실질중립금리 추정의 불확실성이 확대됨에 따라 임기응변식의 통화정책 운영이 상당 기간 불가피할 것"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향후 미국의 장기국채 금리는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보다 기간 프리미엄에 크게 좌우될 것으로 예상했다.

강 연구원은 "2023년 9월과 같이 가파르게 상승하면서 금리 상승을 유발할 경우 한국 국채금리가 동반 상승하면서 환율 변동성이 확대될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2022년 하반기 이후 가파른 금리인상으로 주요 예측기관들은 2023년 중 미국의 경제성장률이 당초 매우 부진할 것으로 예측한 바 있다.

하지만 미국 경기가 예상보다 견조한 성장 흐름을 나타내면서 성장 전망치를 점차 상향 조정했다.

강 연구원은 "금융혁신 및 규제 완화, 통화정책 대응체계 개선, 세계화 등 경제구조의 변화 등으로 미국 경제가 금리 변화에 구조적으로 둔감해졌다는 평가들이 나온 가운데 통화정책의 파급경로 중 특히 금리경로가 크게 약화된 점에 주목한다"고 밝혔다.

최근 금리인상기(2022년 3월~2023년 7월)에 미국의 장기 국채금리의 상승 요인을 향후 통화정책 예상 및 국채의 장기 보유에 대한 기간 프리미엄으로 분해해 보면, 과거 금리인상기와 달리 전적으로 통화정책 예상 때문에 상승했으며 기간 프리미엄은 거의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그는 "기간 프리미엄이 큰 변동없이 이례적으로 낮게 유지된 원인과 관련해선 동태적 확률 균형모형(DSGE)으로 추정한 결과 미 연준의 양적완화에 의한 대규모 국채 보유로 2022년 말 기준 기간 프리미엄이 약 100bp 정도 하락한 것으로 추정됐다"고 밝혔다.

이어 "미국 가계부채의 2/3을 차지하는 주택금융이 대부분 장기 고정금리로 이뤄짐에 따라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에도 불구하고 가계의 원리금 상환부담이 코로나19 감염확산 이전 수준을 유지한 데다 고령화로 부채 부담이 적은 베이비붐 세대의 비중이 확대되고 있는 점 역시 금리경로를 약화시키는 데 기여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

< 저작권자 ⓒ 뉴스콤,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로그인 후 작성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