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콤 장태민 기자] 메리츠증권은 21일 "중국판 리만 사태가 발생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고 진단했다.
최설화 연구원은 "중국 부동산 경기 부진이 지속되면서 디벨로퍼의 부도는 물론 토지양도수입에 기반하는 LGFV의 신용 위험도 높아지고 있다"면서도 이같이 평가했다.
중국에선 부동산 개발 자금원이었던 신탁상품의 상환도 중단됐다는 소식이 들려오면서 금융기관으로의 리스크 전염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최 연구원은 그러나 중국판 리먼사태 등을 거론하면서 위기를 과장할 필요는 없다고 풀이했다.
그는 우선 "신탁사의 상품 상환 실패가 기타 금융기관이나 자금시장으로 확산될 개연성은 낮다"면서 "신탁상품의 투자손실은 고객이 부담하기에 과거 뱅크런이나 과거 중국 내 예금상품, 원금 보장형으로 인식된 WMP 등 금융상품의 상환 실패와 다르다"고 밝혔다.
이런 차이가 최근 신탁상품 상환 실패에도 중국 내 자금시장 단기금리 반등폭이 크지 않는 이유라고 했다.
최 연구원은 "중국 부채의 대부분을 중국계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점도 위험관리에 상대적으로 용이하다"면서 "이들은 또 대부분 국영기업이기에 정부의 개입 하에 부채 상환을 연장해줄 가능성이 높고, 구제금융을 해주지 않더라도 전반 조정 과정을 완만한 속도로 통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해외의 급격한 금융위기와는 다르다"라고 밝혔다.
중국은 가계 부채비율이 60%대로 다른 국가 대비 매우 높지도 않고, 저축률도 45%로 한국, 일본, 미국에 비해 높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는 경기 부진에 대출 상환이 어려워 가계가 자산을 매도함으로써 시장 부진을 심화시키는 악순환의 가능성은 낮음을 의미한다"고 밝혔다.
물론 부작용도 크다고 했다.
최 연구원은 "토지재정에 기반한 성장 모델이 한계에 달하면서 LGFV를비롯한 부채 구조조정을 단행할 수 밖에 없다"면서 "문제는 상업은행들이 대부분 부채를 보유하고 있다 보니 다양한 정책 효과가 점차 약화되며 장기 저성장 국면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라고 밝혔다.
이는 단기적으로 위안화 약세 압력을 부추길 수 있다고 분석했다.
그는 "중국 정부의 다양한 정책대응은 중국 주식시장 하방을 방어할 수 있겠지만, 경기지표가 개선되지 못한다면 시장 반등 가능성은 낮다"고 덧붙였다.
중국판 리먼사태 가능성 별로없어..토지재정 기반 성장모델 한계 드러나 장기 저성장 가능성↑- 메리츠證
이미지 확대보기장태민 기자 chang@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