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시장 회복 지연 따른 실물경제 영향, 금융안정 리스크 유의 필요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주택시장 회복 지연에 따른 실물경제 영향, 금융안정 리스크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한국은행은 8일 발표한 '주택시장 부진 완화 가능성 점검'에서 "앞으로 주택시장 회복이 지연됨에 따른 실물경제 영향(소비, 투자)과 금융안정 관련 리스크(청년층 부채, 건설사 자금사정 등) 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은 조사국 물가연구팀은 "주택경기 회복 지연은 역자산효과 등을 통해 소비 둔화와 건설투자 위축을 초래할 수 있다"며 "여타 연령층에 비해 소득수준이 낮은 20~30대 과다차입 주택구입자(‘영끌’)와 연관된 대출의 부실 위험이 확대될 소지도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분양시장 부진은 미분양 증가를 통해 건설사 자금 사정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했다.
물가연구팀은 "주택시장 주요 여건을 점검해본 결과, 최근 주택가격 하락폭이 축소됐지만 그간 주택시장 부진흐름이 빠른 회복세로 전환될 가능성은 아직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높은 금리수준 등으로 주택구입 부담이 여전히 큰데다 특히, 20~30대 과다차입 차주(‘영끌’)는 이자부담 등으로 보유주택을 급매로 처분할 수 있음을 지적했다.
전세시장 부진은 갭투자 유인 감소, 보증금 상환을 위한 저가 매도 물량 출회 등 ‘전세-매매 상호작용’을 통해 시장회복을 지연시키는 요인이라고 했다.
최근 역전세 비율이 크게 증가하고 2021년 늘어난 갭투자 물량이 올해 중에 매물로 출회될 가능성이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공급물량 축소는 주택시장 부진을 완화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높은 매수-매도 호가 차이와 고분양가에 따른 분양시장 부진 등이 그 효과를 제약한다고 했다.
한은 물가연구팀은 "다만 부동산 규제 완화는 주택시장 심리 개선 등을 통해 주택가격 하락속도를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