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분기 GDP(잠정) 속보치와 같은 전기비 0.1% 증가...수출 회복 불구 건설투자 부진 여파 -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뉴스콤 김경목 기자]
2024년 4/4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이 전기대비 0.1% 성장했다.
5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이는 속보치와 동일했지만 속보치 추계시 이용하지 못했던 분기 최종월의 일부 실적치 자료 등을 반영한 결과 수출(+0.5%p), 정부소비(+0.2%p), 수입(+0.2%p) 등이 상향 수정된 반면, 건설투자(-1.3%p), 설비투자(-0.4%p) 등은 하향 수정됐다.
3분기 부진했던 수출이 반등했지만 건설투자 감소세가 지속되는 가운데 민간소비, 정부소비, 설비투자 등이 전분기 대비 둔화된 영향을 받았다. 이에 3분기와 동일한 전기대비 0.1% 성장에 그쳤다.
경제활동별로 제조업은 화학물질 및 화학제품,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를 중심으로 전기 대비 0.2% 증가했다. 건설업은 건물건설,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4.1%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부동산업, 도소매 및 숙박음식업 등이 줄었으나, 금융 및 보험업, 의료,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 등이 늘어 0.4% 증가했다.
지출항목별로 보면 민간소비는 재화(승용차, 전기·가스 및 기타 연료 등)가 줄었으나 서비스(의료, 교육 등)가 늘어 전기 대비 0.2% 증가했다. 정부소비는 건강보험급여비 지출을 중심으로 0.7%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건물건설과 토목건설이 모두 줄어 4.5%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운송장비(승용차 등)가 줄었으나 기계류(반도체제조용장비 등)가 늘어 1.2% 증가했다.
수출은 IT 품목(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0.8% 증가했으며 수입은 기계 및 장비 등이 늘어 0.1% 증가했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2.6% 증가, 전년동기대비 6.3% 증가했다.
한은은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9.0조원 → 11.6조원)이 증가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2.2%)을 상회했다"고 밝혔다.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기대비 1.3% 증가, 전년동기대비 3.4% 증가했다.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무역손실(-14.2조원→-10.4조원)이 축소되고,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9.2조원 → 12.2조원)이 늘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0.1%)을 상회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동기대비 4.1% 상승했다.
4분기 총저축률(35.7%)은 전기대비 1.2%p 상승했다. 국내총투자율(29.8%)은 전기대비 0.1%p 하락했다.
■ 2024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전년대비 2.0% 성장.. 건설업 감소 전환 속 제조업 증가폭 확대


4분기 GDP(잠정) 속보치와 같은 전기비 0.1% 증가...수출 회복 불구 건설투자 부진 여파 - 한은
이미지 확대보기
2024년 실질 국내총생산(GDP)은 전년대비 2.0% 성장했다.
경제활동별로는 건설업이 3.1%에서 -2.8%로 감소 전환했으나, 제조업은 1.7%에서 4.0%로 증가폭을 확대했다.
지출항목별로는 민간소비 증가세가 둔화되고 건설투자가 감소 전환됐으나 수출, 정부소비, 설비투자는 각각 증가폭이 확대됐다.
2024년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실질 국외순수취요소소득(38.1조원→31.6조원)이 감소했으나, 교역조건 개선으로 실질 무역손실(-91.4조원→-53.1조원)이 축소되어 3.5% 증가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은 2,549.1조원으로 전년대비 6.2% 성장했으며,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전년대비 1.6% 성장한 1조 8,689억 달러를 나타냈다.
명목 국민총소득(GNI)은 명목 국외순수취요소소득(42.1조원→36.1조원)이 줄어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6.2%)보다 낮은 5.8% 증가했다.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4,995.5만원으로 전년대비 5.7% 증가했으며, 미 달러화 기준으로는 36,624달러로 전년대비 1.2% 증가했다.
GDP 디플레이터는 전년대비 4.1% 상승했다.
2024년 총저축률은 35.1%로 전년대비 1.6%p 상승했으며, 국내총투자율은 전년대비 1.8%p 하락한 30.0%를 기록했다.
김경목 기자 kkm3416@newskom.co.kr